동래구 (1973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래구 (1973년 선거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동래구 갑, 동래구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이후 행정 구역 분리와 소선거구제 실시로 인해 1988년 폐지되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민주공화당, 신민당, 민주정의당, 민주한국당, 신한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당선되었으며, 양찬우, 이기택, 박관용, 김진재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역대 선거 결과, 1973년에는 양찬우와 이기택이, 1978년에는 이기택과 양찬우가, 1981년에는 김진재와 박관용이, 1985년에는 이건일과 박관용이 각각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동래구의 정치 - 동래구 (2000년 선거구)
동래구 (2000년 선거구)는 2000년 동래구 갑·을 선거구의 인구 미달로 신설되어 부산광역시 동래구 전역을 관할하며, 여러 국회의원을 배출하고 정당 지지율 변화와 지역 정치 특성을 반영하며 더불어민주당과 진보정당의 영향력 변화가 분석 대상이다. - 부산 동래구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래구의회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동래구의회 의원 11명을 지역구에서, 2명을 비례대표로 선출하여 더불어민주당이 8석, 자유한국당이 5석을 차지하였다. - 부산광역시의 폐지된 선거구 - 북구·강서구 을
북구·강서구 을은 1996년 신설되어 부산광역시 북구 일부와 강서구 전 지역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24년 선거구 재편으로 강서구 단독 선거구화 및 북구 을 선거구 형성으로 폐지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폐지된 선거구 - 해운대구·기장군 갑
해운대구·기장군 갑은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며, 김운환, 손태인, 서병수, 배덕광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73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서천군·보령군
부여군·서천군·보령군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88년 부여군, 서천군, 대천시·보령군으로 재편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73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종로구·중구
종로구·중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종로구와 중구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1988년 소선거구제 실시로 분리되었다.
동래구 (1973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동래구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부산시 |
연도 | 1973년 |
폐지 | 1988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동래구 갑 동래구 을 |
이후 선거구 | 남구 (1978년 분리) 남구·해운대구 (1981년 분리) 금정구 동래구 갑 동래구 을 |
의원 수 | 2인 |
2. 역사
동래구 갑, 동래구 을 선거구가 합쳐지면서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었다. 1975년 10월, 동래구의 일부 지역(수영동·망미동·광안동·민락동)이 신설되는 남구로 편입되었다. 1980년 4월에는 동래구 우동·중동·좌동·송정동·반여동·석대동·반송동·재송동이 해운대구로 분리되었다.
1988년 1월, 서동·금사동·오륜동·부곡동·장전동·회동동·선동·두구동·노포동·청룡동·남산동·구서동·금성동이 금정구로 분리되었다. 또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소선거구제가 실시됨에 따라 금정구, 동래구 갑, 동래구 을 선거구로 각각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행정 구역 변천
3. 역대 국회의원
동래구 선거구에서는 민주공화당, 신민당, 민주정의당, 민주한국당, 신한민주당 등 다양한 정당 소속 의원들이 당선되었다.
양찬우는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이기택은 신민당 및 민주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이기택은 9대, 10대 총선에서 신민당 소속으로 당선되어 당시 동래구의 야권 강세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후 야당 대표, 민주당 총재를 역임하며 3김 시대의 한 축을 담당한 주요 정치인으로 성장하였다.
박관용은 민주한국당과 신한민주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이후 신한국당, 한나라당을 거치며 국회의장을 지낸 보수 정치인이다. 김진재는 민주정의당 소속 국회의원이었다.
3. 1. 정당별 당선 횟수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1973년)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시 동래구는 210,960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했다. 민주공화당 양찬우 후보가 63,081표(42.84%)를 얻어 당선되었고, 신민당 이기택 후보는 57,757표(39.2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건일 후보는 17,633표(11.97%), 민주통일당 박재우 후보는 8,751표(5.94%)를 얻었다. 총 147,222표 중 무효표는 2,796표였다.4. 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이기택 후보와 민주공화당 양찬우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기택 | 신민당 | 117,216 | 40.14 |
양찬우 | 민주공화당 | 87,171 | 29.85 |
이건일 | 민주통일당 | 71,252 | 24.40 |
주성태 | 무소속 | 10,094 | 3.45 |
전한도 | 무소속 | 6,270 | 2.14 |
합계 | 292,003 | ||
무효표 | 3,472 |
4. 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1981년)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는 374,235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민주정의당 김진재 후보가 81,911표(27.88%)를 얻어 당선되었고, 민주한국당 박관용 후보는 71,863표(24.4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하기성 후보는 44,234표(15.05%), 한국국민당 양찬우 후보는 44,117표(15.01%), 무소속 강호성 후보는 25,408표(8.64%), 민주사회당 전한도 후보는 9,998표(3.40%), 안민당 문용한 후보는 6,015표(2.04%), 민권당 최국주 후보는 5,794표(1.97%), 민주농민당 김헌근 후보는 4,435표(1.50%)를 득표했다. 총 293,775표가 유효표로 집계되었으며, 무효표는 3,157표였다.4. 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1985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는 유권자 465,073명 중 396,968명이 투표하여 4,530표의 무효표가 발생했다. 민주한국당 이건일 후보가 147,464표(37.14%)를 얻어 당선되었고, 신한민주당 박관용 후보는 145,233표(36.58%)를 획득하여 당선되었다. 한편, 민주정의당 김진재 후보는 96,182표(24.22%), 자유민족당 문용한 후보는 8,089표(2.03%)를 얻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